본문 바로가기

일본13

한일 지소미아(GSOMIA)종료. 아베 공식 입장(일본 반응) 아베 신조가 지소미아 종료에 대한 공식입장을 내놨다 아베는 한국 정부가 일본과의 군사정보보호협정(지소미아,GSOMIA)을 종료시키는 것에 "한국이 한일청구권협정을 위반하는 등 국가와 국가 간의 신뢰 관계를 해치는 대응이 유감스럽게도 계속되고 있다"고 주장했다 또 "한국 측의 계속된 그런 움직임에도 일본은 현재의 동북아 안보 관계에 비추어 한미일 협력에 영향을 줘서는 안 된다는 관점에서 대응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앞으로도 미국과 확실하게 연대하면서 지역의 평화와 안정을 확보할 것"이라면서 "일본의 안전을 지키기 위해 대응해 나가고 싶다"고 덧붙였다. 이는 한국과의 지소미아가 종료됐으니, 미국과의 협력 강화를 통해 북한 관련 정보를 얻겠다는 뜻으로 풀이된다 한편 아베는 이날 '한국 정부가 한일청구권협정.. 2019. 8. 23.
한일 군사정보보호협정(GSOMIA, 지소미아)종료 현재 일본의 반응은?? (+미국, 북한 반응) 한일 군사정보포괄보호협정(GSOMIA, 지소미아)종료 현재 일본의 반응은?? (+미국, 북한 반응) 2016년 11월 23일에 체결된 한일 군사정보포괄보호협정 이른바 지소미아(GSOMIA)가 22일 종료됐다 화이트리스트 배제로 인해 한일 관계가 악화되고 있는 상황에서 지소미아까지 종료 된 상황 문재인 정부는 "일본정부가 안보상 문제가 발생했단 이유로 화이트리스트에서 제외한 것이 양국간의 안보협력환경에 중대한 변화를 일으켰기에, 안보상 민감한 군사정보 교류 협정을 지속시키는 것이 국익에 부합하지 않는다"는 입장을 밝혔다 앞서 말하자면 지소미아는 대한민국 정부 수립 이후 한일 양국이 맺은 첫번째 군사협정이다 대한민국은 일본이전에 32개의 국가와 협정을 맺고 있는 상황이었다 지소미아 체결 당시 민주당, 정의당.. 2019. 8. 23.
일본 총리가 '전쟁 범죄'를 인정하고 공식적으로 사과한 사례들 고이즈미 준이치로가 서대문형무소에 추모하고 사과를 했다고?? 아베의 사과는? 일본 총리가 전쟁 범죄를 인정하고 사과한 사례 4 1. 고노 담화 (1993) 1993년 8월 4일. 미야자와 기이치 내각(자민당) 당시 위안부 강제동원 인정과 사죄를 한 사건 다만 총리가 아닌 고노 요헤이 관방장관이 발표한 것이지만, 1년 8개월 동안의 조사를 통해 이뤄진 것으로 의미가 있다. 이 담화에서는 일본군 위안부 문제에 있어 강제성 뿐만 아니라 일본 정부가 이에 직접 관여했다고 인정했지만 배상에 대해선 한일기본조약으로 모든 것이 해결되었다는 입장을 고수하며 언급을 하지 않았다 한편 이 당시 자민당은 지금처럼 우경화가 심화된 당이 아니었는데, 2000년대 이후 우경화가 본격적으로 시작된 자민당에선 고노 담화를 수정하려는.. 2019. 8. 12.
태평양 전쟁중 일어난 치치시마섬 식인사건 [태평양 전쟁중 일어난 치치시마섬 식인사건] 태평양 전쟁 당시 발생했던 일본군의 식인 행위 중 일부의 경우에는 기아가 닥쳐오지 않은 경우에도 발생했던 사례가 있습니다. 다시 말해서 다른 식량이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포로를 잡아먹었다는 것입니다. 이런 사건이 발생한 원인으로는 패전으로 기울어지는 전황에 대한 불안감을잊기 위해서, 포로를 잡아먹음으로써 적군에 대한 승리감을 얻고 아군의 사기를 고취시키기 위해서라고 추정되고 있습니다. 이런 사건 중에서 부시 전 미국 대통령(아버지 부시)과 관련된 사건이 있는데, 오가사와라 제도의 치치시마 식인 사건입니다. 조지 부시 전 미국 대통령은 1943년 6월 해군장교로 임관해 제2차 세계대전에 참전했습니다. 해군 조종사 과정을 수료한 그는 당시 만19세로 미 해군의 최연.. 2017. 8.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