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일본13

후쿠시마 안전하다는 일본인들에게 후쿠시마 물 줬더니 보인 반응 유튜브 채널 카미죠우에 올라온 '후쿠시마 수산물이 안전하다고 주장하는 일본인에게 후쿠시마 수도국에서 판매하는 물을 일본인에게 줘 봤더니'라는 제목의 영상이 화제가 되고 있다 해당 영상에서는 인터뷰에 응한 일본인들에게 후쿠시마에 대해 물어봤더니 다들 안전하다는 반응을 보였다 이에 유튜버는 "그럼 후쿠시마에서 나온 물도 마실 수 있느냐"고 물었는데, 후쿠시마가 안전하다고 말한 일본인들은 "마실 수 있다"는 반응을 보였다 그러자 유튜버는 후쿠시마 물을 보여주며 "그럼 이 자리에서 마실 수 있냐"고 물었는데, 과연 어떤 반응을 보였을까? 처음에 등장한 두 명의 남자는 '본인이 산 게 아니라서 그 이유때메 마시기가 좀 그렇다'는 반응을 보였다 그러면서 유튜버에게 "먼저 마셔보라"고 말했고, 이에 유튜버가 물을 마.. 2019. 9. 2.
평창 올림픽 수호랑 비난하던 일본의 2020년 올림픽 캐릭터 과거 일본은 평창 올림픽 마스코트 수호랑과 반다비를 방송에서 대놓고 비난을 했었다 일본 방송 "이 마스코트에 어이없는 결함이 있다고 합니다. 그것은 눈이 떨어져 있어서 의상 속에 들어가 있는 사람이 안에서 밖을 거의 볼 수가 없다고 합니다" "수호랑이 넘어져 버렸습니다. 추위나 강풍 등 문제가 이어지고 있는 평창 올림픽" 일본은 이렇게 평창 올림픽을 비난하며 수호랑을 비난했는데 그렇다면 2020년 도쿄 올림픽 마스코트는 뭘까? 이미 확정이 났다고 하는데 일본인들 사이에서도 많은 이야기가 나오고 있다 2020년 도쿄 올림픽 마스코트 BBC 스포츠에서는 이 도쿄 올림픽 마스코트에 대한 탄생 배경과 의미를 설명하면서 "평창 마스코트 수호랑과 반다비를 의식한 캐릭터인데, 그 인기를 못 따라 잡을 것"이라고 평가.. 2019. 9. 2.
한일 지소미아(GSOMIA) 종료. 그 전에 어떤 정보를 교류했을까? (+지소미아의 필요성?) 지소미아란? 한국과 일본이 북한의 핵·미사일과 관련한 2급 이하 군사비밀 공유를 위해 지켜야 할 보안 원칙들을 담고 있다 한국은 '군사2급비밀', '군사3급비밀'로 분류된 정보를 일본은 '극비·방위비밀', '비'로 분류된 정보를 제공한다 앞서 지소미아는 체결부터 엄청난 파장이 있었다. 진보 단체에서 일본과의 사비밀교류 자체를 격렬하게 반대했기 때문이다 하지만 박근혜 정부 당시 북한의 핵실험과 잇따른 미사일 도발 속에 한미일 안보 공조의 필요성이 크게 부각됐고, '매국 협상'이라는 거센 비난 속에 협정이 체결됐다 그렇다면 체결 이후 상황은 어떻게 됐을까? 먼저 북한의 미사일과 대북 감시·정보 능력치는 한국과 일본은 서로 다른 영역에서 비교우위를 갖고 있다 한국은 고위급 탈북자 등 인적 네트워크를 통한 대북.. 2019. 8. 26.
일본 자민당의 장기 집권이 한일 관계에 있어 치명적인 이유 + 자민당 탄생 배경. 최근 한일무역분쟁이 생기면서 지난 7월 21일 치러진 일본 참의원 선거가 한국에서도 많은 관심을 받았다 아베는 "임기 중에 어떻게든 개헌을 실현시키고 싶다"며 일본을 전쟁가능한 나라로 바꾸려는 개헌에 대한 강한 의지를 품었고, 이번 선거에서 '개헌 발의'에 필요한 의석을 확보해야했다 하지만 자민당은 선거를 치른 124석 중 71석을 얻으면서 과반을 확보했으나(기존 70석 + 71석 = 123석 확보) '개헌 발의'에 필요한 164석(전체 의석 3분의 2)은 넘어서지 못해 '반쪽 승리'라는 결과를 얻었다 한편 일본 보수정권인 자민당은 1993년 8월 ~ 1996년 1월(2년 5개월), 2009년 9월 ~ 2012년(3년 3개월)의 기간을 제외하고 모두 총리를 배출했는데, 의석수 비율도 43% 밑으로 떨어진.. 2019. 8. 26.